본문 바로가기
학습정보

모의고사 성적표 100% 활용법! 원점수·표준점수·백분위·등급 한눈에 파악하기

by 109. 2025. 7. 11.
반응형

모의고사 성적표, 등급·원점수만 보지 말고, 원점수·표준점수·백분위·등급 4가지 핵심 지표를 모두 확인해야 본인 실력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모의고사 성적표 보는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1. 모의고사 성적표 왜 4가지 지표를 모두 봐야 할까?

원점수만 보면 단지 내가 맞힌 개수만 알 뿐, 문제 난이도나 다른 학생 대비 나의 위치를 알 수 없습니다. 표준점수는 시험 난이도와 응시자 분포를 반영해, 내 점수가 평균 대비 어느 정도인지 알려줍니다. 백분위는 전체 응시자 중 내가 상위 몇 %인지 직관적으로 보여줍니다. 등급은 누적 백분위 기준으로, 대학 입시 등급 컷과 연계되어 가장 많이 활용됩니다.
이 네 가지를 종합해야 “이 과목, 진짜 잘한 건지” “어떤 과목에 더 집중해야 할지” 효과적인 학습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2.  모의고사 성적표 4대 핵심 지표

지표 의미 활용 팁
원점수 시험 채점 결과 실제로 맞힌 ‘정답 개수’  절대평가 과목(한국사·영어)에서 중요
표준점수(표점) 평균(μ)과 표준편차(σ)를 이용해 원점수를 변환한 점수
(국·/수는 μ=100, σ=20)
100 이상이면 평균 이상,
100 이하면 평균 이하
백분위  100 이상이면 평균 이상, 100 이하면 평균 이하 100 이상이면 평균 이상,
100 이하면 평균 이하
등급  누적 백분위 기준으로 매긴 9등급 (2028년 이후 5등급) 대학별 반영 비율과 비교해 등급 목표 설정

2-1 원점수 해석 포인트

  • 절대평가 과목(한국사·영어): 원점수 기준 등급 매김
  • 상대평가 과목: 점수 분포 파악용으로만 활용

2-2 표준점수 계산 원리

  • 평균(μ) 부여: 평균 원점수 학생에게 표준점수 100점
  • 표준편차(σ) 적용: 원점수가 μ+σ일 때 표준점수 120점, μ–σ일 때 80점
  • 응용 예시:
    평균 μ=52, 표준편차 σ=21이라고 할 때, 
    원점수 73의 표준점수= μ+σ ⇒ 표준점수 120
    원점수 94 = μ+2σ ⇒ 표준점수 140
    원점수가 평균보다 표준편차만큼 높을때마다 표준점수가 20점 추가로 부여됩니다. 
    그러니까 표준편차를 한칸씩 더하고 뺀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 탐구 과목은 μ=50, σ=10 기준으로 동일 원리 적용
  • 표준점수가 높고 백분위가 높다면, 해당 과목에서 다른 학생들보다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고 해석하변 됩니다. 
  • 시험이 어려우면, 원점수가 낮더라도 표준점수가고 반대로 시험이 쉬웠을 경우에는, 원점수가 높아도 표준점수가 낮게 나올 수 있습니다.서로 다른 과목 간의 점수 비교를 용이하게 해 대학 입시에서 중요한 평가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2-3. 백분위 제대로 보기

  • 자신보다 낮은 표준점수를 받은 학생들의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입니다. 전체 응시자와 비교해 자신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장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나의 백분위가 98% 이면 자신보다 표준점수가 낮은 학생이 전체 응시자의 98%라는 뜻입니다. 다시 말해 상위 2%라는 말과 같습니다. 
  • 주의할 점 동점자를 절반 처리. 예를들어 백분위 95% 동점자인 사람이 3%가 있다고 하면 백분위는 동점 비율 절반까지 더해서 96.5가 됩니다. 
  • 활용 팁: 학교 내 분포 파악, 전국 비교

2-4. 등급 컷 정하기

  • 1등급: 상위 4%
    2등급: 4% 초과 ~ 11% 이하 (누적 11%)
    3등급: 11% 초과 ~ 23% 이하 (누적 23%)
    4등급: 23% 초과 ~ 40% 이하 (누적 40%)
    5등급: 40% 초과 ~ 60% 이하 (누적 60%)
    6등급: 60% 초과 ~ 77% 이하 (누적 77%)
    7등급: 77% 초과 ~ 89% 이하 (누적 89%)
    8등급: 89% 초과 ~ 96% 이하 (누적 96%)
    9등급: 96% 초과 ~ 100% 이하 (누적 100%)
  • 2028년 대입 개편 후 5등급제로 일부 과목 전환
  • 목표 대학의 수시 수능 최저 학력 기준을 충족하는지 확인하고, 정시 지원 시 입 자료로 활용합니다.
  • 절대평가 과목은 백분위·표준점수 미표기, 등급만 확인

3. 한눈에 비교해보기

과목 구분  원점수 활용   표준점수 활용  백분위 활용  등급 활용
국어·수학 참고용 평균 대비 위치 정확 판단 - 입시 준비 지표
탐구 과목 μ·σ에 따른 변환 점수 파악 과목별 상대 난이도 확인 - -
한국사·영어 등급 판정 기준 (절대평가) 표시되지 않음 표시되지 않음 등급만 확인
  • 4가지 지표 모두 확인해야 진짜 내 위치가 보인다!
  • 표준점수·백분위로 약점 과목 우선 순위 정하기
  • 등급 컷을 목표로, 일별·주별 학습 계획 세우기

복잡한 모의고사 성적표를 보는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반응형

댓글